
존 코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이 2021년 도쿄올림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는 상관 없이” 예정대로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츠 부위원장은 7일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하계올림픽은 내년 7월 23일에 개막할 것이며 “코로나19를 정복한 대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7월 막을 올릴 예정이었던 도쿄올림픽은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1년 연기됐다.
도쿄 올림픽 1년 연기 공식 결정 코로나19: ‘콘서트 열어도 안전할까?’…독일서 ‘콘서트 실험’
앞서 IOC는 하계올림픽을 2021년 이후로 연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비친 바 있다.
코츠 부위원장은 AFP와의 인터뷰에서 2011년 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를 언급하며 원래 “이번 대회는 쓰나미 피해 이후 ‘재건’이 주제였다”며 “이번 대회는 코로나19를 정복한 경기이자 터널 끝의 빛이 될 것”이라고 다짐했다.
무토 토시로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은 지난 7월 2021 도쿄올림픽의 관중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무관중 경기는 피하고 싶다고 밝혔다.
2020 도쿄 올림픽 ‘간소하게’ 치러진다… 관객 축소 가능성도
그는 대신 개회식·폐회식을 간소화하고, 각국 선수단·대표단의 숫자를 줄이는 방안을 언급했다.

2020년 올림픽에는 약 200개국에서 온 1만10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참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19 여파로 외국인 관광객 대부분의 일본 입국이 제한된 상황이다. 내년에 어떤 상황이 펼쳐질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무토 사무총장은 방역 전문가들의 의견과는 달리 코로나19 백신이 대회 개최의 필수 조건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백신이 준비된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백신이 없다고 대회를 개최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필수 조건은 아닙니다.”
일본과 IOC는 올림픽 재연기는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4월 모리 요시로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은 도쿄올림픽이 2021년에도 개최하지 않으면 경기가 취소될 수밖에 없다고 말한 바 있다.
IOC 토마스 바흐 회장 또한 “조직위원회에서 3000명에서 5000명 사이의 직원을 영원히 고용할 수는 없다”며 “전 세계 주요 연맹의 전체 스포츠 일정을 매년 변경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올림픽 열리지 않은 건 5차례뿐이다. 모두 전쟁의 영향으로 취소됐으며, 연기가 된 적은 한 번도 없다.
- 넷플릭스 회장 ‘재택근무, 부정적 영향 준다’
- 넷플릭스 회장 ‘재택근무, 부정적 영향 준다’
- 브라질축구협회가 남녀 국가대표 ‘동일 임금’ 지급을 선언했다
- 브라질축구협회가 남녀 국가대표 ‘동일 임금’ 지급을 선언했다
- ‘디지털 교도소’는 정의 구현인가, 마녀 사냥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