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tala Palace in Lhasa, Tibet
Potala Palace in Lhasa, Tibet

중국이 티베트 지역에서 수십만 명을 대상으로 ‘군대식의 교육 훈련’을 강요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제임스타운 재단은 관영 언론 보도와 정책 문서, 로이터가 제공한 위성사진 등을 바탕으로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티베트의 상황을 신장 지역 위구르족과 비교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이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하루 330원으로 살아온 중국 대학생 사망 중국의 황금시간대에는 시진핑에 대한 퀴즈 쇼가 나온다

중국 당국은 티베트 농촌 노동자들을 재교육하는 것이 빈곤 완화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조하고 있는 ‘극도의 빈곤을 올해 안으로 척결하겠다’는 정책 목표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티베트는 중국의 자치구로, 베이징과 멀리 떨어져 있으며 주민 대부분이 불교를 믿는다.

중국 당국은 티베트의 문화적, 종교적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티베트 지역의 진보와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전부터 롭상 상가이 티베트 망명정부 총리 등은 티베트인들이 교육이라는 명목하에 수용소와 훈련 시설로 보내진다며 목소리를 높여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강제 훈련 프로그램이 예측보다 규모가 크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티베트 교육 훈련…어떤 내용인가?

조사를 진행한 아드리안 젠츠의 보고서에 따르면 50만 명이 2020년 1월부터 7개월 동안 훈련을 받았다. 이들은 대부분 생계형 농부와 축산업자들이었다.

당국은 또한 일부를 중국의 다른 지역이나 티베트내 공장으로 대량 이주시키기 위해 할당량도 정했다.

훈련보고서를 보면, 교과목은 “업무 규율, 중국어, 업무 윤리” 등으로 구성됐으며 ‘일을 할 수 없고, 하고 싶지 않고, 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태도’를 바꾸는 데 목적이 있다. ‘게으른 사람들’을 제거하기 위해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하라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젠츠 연구원은 이 교육 프로그램이 노동자 대부분에게 섬유 제조, 건설, 농업 등 저임금 일자리를 제공으로 귀결됐다고 했다.

그는 “점점 세지고 있는 중국의 소수민족 동화정책은 이들의 언어, 문화, 정신적 유산을 장기적으로 잃어버리게 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위구르 무슬림 탄압 사태’ 총 정리

신장 지역 상황과 비교해보면?

이는 신장 지역 상황과 흡사하다.

보고서는 “신장과 티베트 두 곳 모두, 빈곤 해소 계획이 가족 단위까지 당국이 하향식으로 통제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신장 지역에서 수십만 명의 무슬림 교도들을 억류해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당국은 신장 수용소가 테러리즘과 종교적 극단주의에 맞서 싸우기 위해 필요한 직업학교라며 이를 부인하고 있다.

신장자치구 카스시 구금 훈련소
신장자치구 카스시 구금 훈련소

티베트는 이런 신장의 상황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덜 강압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일부 티베트인들이 훈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 결과 소득이 증가하는 부분이 있어서라고 한다.

하지만 보고서는 “강제적이고 세뇌 시키는 시스템이 명확하게 존재하고, 생계 수단도 영구적으로 바꾸는 것은 매우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