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오전 강원 양양에서 산불 계도 비행 중이던 임차 헬기 1대가 야산으로 추락해 5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애초 기장 A씨(71세)와 정비사 B씨(54) 등 2명이 탑승했다고 알려졌지만 사고 현장에서는 20대 C씨와 신원 미상의 2명 등 총 5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해당 5명이 탑승한 사실이 헬기 계류장 폐쇄회로(CC)TV를 통해 확인됐고 소방당국과 삼림당국은 이들의 정확한 신원을 파악 중이다.

A씨와 B씨는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산불방지 공중 계도 및 감시 비행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헬기는 이로부터 약 1시간 20분이 지난 10시 50분쯤 강원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 명주사 인근 야산에서 추락했다.

추락 후 동체에서 발생한 화재로 헬기는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만큼 뼈대만 남았다.

강원도소방본부는 140여 명의 인력과 40여 대의 장비를 사고 현장에 투입해 사고를 수습했고 화재는 1시간 15분 만에 꺼졌다.

47년된 산불진화헬기.. 사고가능성 지속 제기돼

한편 이번에 추락한 헬기는 공중에서 산불 취약지 예방 활동을 벌이는 산불 계도 비행을 위해 속초·고성·양양이 공동으로 임차해 운용 중인 S-58T 기종 중형 헬기다.

서울지방항공청과 산림청, 강원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이 헬기는 미국에서 1975년 만들어져 올해로 기령이 47년이다. 이렇게 기령 20년 이상의 노후 헬기는 가리키는 ‘경년헬기’에 해당한다.

각 지자체가 산불 예방과 진화를 위해 운영해 온 임차 헬기들은 산림청에서 운영하는 헬기에 비해 높은 평균 기령 때문에 지난 몇년 간 여러 차례 교체 필요성이 제기됐다.

지난 2020년 국정감사 때에는 당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이었던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의원이 해당 문제를 지적하며 “적절한 예산지원을 통해 지자체 임차헬기 중 지나치게 노후화된 헬기를 교체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산불 예방 임차 헬기는 산불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수십분 이내 산불현장에 도착해 진화할 수 있어 대형 산불을 에방하는 임무를 맡는다.

또 헬기 기장은 시·군 산불 담당자에게 공중에서 바라본 산불 현장 사진을 전송해 지상에서 인력과 장비 동원 등 진화 작전을 효율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이러한 임차 헬기들 중 경년헬기들의 기체 결함으로 인한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산림청은 지난 2019년 2월 ‘산림항공 안전대책’을 발표하며 노후화한 경년헬기를 2025년까지 50대 확충을 목표로 점진적 교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헬기 노후화 문제는 계속 되고 있다.

지난 5월 국민의힘 서범수 의원실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으로 전국 10개 시도가 민간 업체로부터 임차해 산불 진화 등에 사용하는 헬기는 총 72대인데, 평균 기령은 35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헬기의 경우도 노후 항공기 비율이 상당하다.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이 산림청으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림헬기 47대 중 경년헬기는 66%인 31대로 집계됐다. 이 중 30년을 초과한 항공기는 19.1%인 9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