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19일 보도했다. 지난 18일 동해상으로 쏘아 올린 두 발의 미사일이 위성시험품을 탑재한 로켓 발사라는 것.
특히 “이번 중요시험이 위성촬영 및 자료전송계통과 지상관제체계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기본 목적을 두었다”며 “시험을 통해 중요한 성과이자 정찰위성발사의 최종관문공정을 거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돼 약 500km를 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내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한미 군 당국은 준중거리 미사일(MRBM)이라는 평가단 초기 판단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도심 사진 공개… 위협 및 경고
특히 북한은 이번에 위성으로 찍은 듯한 사진을 공개했다.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과 한강 교량 등 서울 도심과 인천항 등이 찍힌 흑백 사진이다.
조선중앙통신은 “20m 분해능 시험용 전색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럼 촬영기 2대, 영상송신기와 각 대역의 송수신기들, 조종장치와 축전지 등을 설치한 위성시험품으로 시험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북한이 남측 지역을 촬영한 사진을 공개한 것으로 처음으로 알려졌다.
김형석 전 통일부 차관은 BBC에 “강대강 국면에서 기본적으로 힘을 키워 국가의 자존을 지키고 번영을 추구하는 것이야말로 북한이 원하는 사회주의 강국”이라며 “굳이 남측 지역 사진을 공개한 것은 계속 대북 적대 행위를 하면 타겟이 될 수 있다는 대남 경고 및 위협 메시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국방력 강화를 내세우며 제시한 과업 중 아직 실현되지 않은 것이 바로 정찰위성과 핵추진 잠수함”이라며 “완성 단계로 순조롭게 가고 있음을 과시하는 차원으로도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월 8차 당대회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을 비롯한 핵잠수함, 위성 등 전술핵무기의 고도화 및 다중화를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이와 함께 정면돌파전, 핵을 기반으로 한 자력갱생 등을 강조하며 인민경제발전 5개년 계획과 함께 국방발전 5개년 계획도 제시했다.
국가정보원 대북분석관을 지낸 곽길섭 국민대 겸임교수는 “공개적으로 전략무기 고도화를 밝힌 만큼, 최근 일련의 미사일 발사는 이러한 핵∙미사일 개발을 실질적으로 완결시키기 위한 과정”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아울러 “김정은 정권의 1순위는 핵미사일 고도화를 위한 김정은식 사회주의 국가 완성”으로 “결국 최후의 안전판을 마련하기 위한 시험발사”라고 그는 강조했다.
상업용으로도 조악한 수준
북한이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의 중요 시험을 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지구관측위성으로도 효용성이 떨어지는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로켓 전문가인 장영근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공학부 교수는 “북한이 남측 지역을 20m 분해능으로 다파장으로 촬영했다고 밝혔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정찰위성으로 쓰려면 분해능이 0.5m는 돼야 하는데 북한이 공개한 사진은 상업용 지구관측용 사진으로 쓰기에도 효용성이 떨어지는 조악한 수준”이라며 “이러한 낮은 수준의 해상도를 군사용으로 활용하는 것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또 “전체적으로 20m 해상도의 전자광학카메라 개발 및 시험 검증항목을 볼 때 북한의 위성기술 수준은 10여 년 전 광명성 3, 4호 수준에서 크게 진전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현재 세계 각국의 위성기술 수준이 굉장히 빠르게 증진하고 있는 반면, 북한은 우주용 구성품을 구할 수도 없고 전자부품 및 소재 기술도 제한적인 만큼 위성기술의 신속한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장 교수는 말했다.
아울러 북한이 내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내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화성-17형에서 사용한 백두산 듀얼 챔버 엔진 두 기를 합친 추진체(160톤 추력) 1단과 우주용으로 개조한 백두산 단일 챔버 엔진 추진체를 2단으로, 그리고 소형 보조액체 로켓엔진을 상단 엔진으로 통합해 우주발사체를 구성하면 최소의 기간 내에 검증된 추진체계를 사용하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5월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및 국가우주개발국(NADA)을 방문해 우주환경시험시설 구축을 가속화할 것을 명령한 바 있다.
장 교수는 “아직까지 제대로 된 우주환경시험시설을 구축하지 못한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통해 제한적인 우주환경 모사시험을 수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 BBC 월드컵 결승전 분석: 메시는 이제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인가?
- 2022 카타르 월드컵: ‘아르헨티나 vs 프랑스’전은 역대 최고의 결승전이었나?
- 여가부 폐지에 맞서 싸우는 한국 여성들
- ‘우유부단함’이 장점으로 바뀌는 심리학
- 통계 밖의 엄마들: ‘나는 탈북민이자, 싱글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