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가 다음 주부터 국경을 다시 개방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미국이 지난 28일(현지시간) 중국발 입국자를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과 더불어 이탈리아, 일본, 대만, 인도 또한 중국에서 입국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의무적인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으나, 호주와 영국은 별다른 규정 변화는 없다고 언급했다.
전 세계로부터 문을 걸어 잠근 지 3년째인 중국 당국이 오는 1월 8일부터 국경을 재개방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시민들의 더 자유로운 출입국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치솟으면서 전 세계가 경계하고 있다.
이번 주 중국 당국이 공식적으로 발표한 확진자는 일일 5000명대이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약 100만 건에 가깝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한 중국 전역의 주요 도시 내 병원들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시민들은 기초 의약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보도가 있기도 했다.
인도의 전염병학자이자 보건 시스템 전문가인 찬드라칸트 라하리야 박사는 최근 B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확진자 폭증은 예상됐던 일”이라면서 “기존에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아 취약한 인구 구성이라면 당연히 확진자가 증가할 것이다. (이미 기존에 많은 인구가 바이러스에 노출됐던) 인도 등 다른 국가에선 현재 유행세가 관찰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반면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8일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은 전반적으로 예측 가능하며 통제되고 있다”고 말했다.
왕 대변인은 중국은 모든 국가의 코로나19 관련 대응이 “과학에 기반하며 균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일상적인 사람간 교류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국가와 언론이 중국의 상황을 “과장”하고 있으며 “중국의 코로나19 정책 조정을 왜곡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에 국경 재개방을 결정함에 따라 시진핑 국가주석이 개인적으로도 지지했던 중국의 소위 ‘제로 코로나’ 정책은 끝나게 됐다.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코로나 봉쇄 정책을 폐지하는 길을 택했을 때도 중국은 확진자를 ‘0(제로)’로 근절하겠다는 정책을 고집하며 집단검사 및 전면적인 고강도 봉쇄 조치를 이어 나갔다.
그 결과 중국 경제는 타격을 입었을 뿐만 아니라 피로감과 분노를 호소하는 시민들이 늘어났다. 결국 지난달 중국에선 보기 드물게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부에 항의하는 시위가 발생했다.
이에 결국 몇 주 뒤 당국은 고강도 코로나19 방역 철회를 발표했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행 항공편이 제한돼있을 뿐만 아니라 수 많은 시민들이 여권을 갱신해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1월 8일 이후 얼마나 많은 중국인이 해외여행을 떠날진 불확실하다.
그러나 미국은 오는 1월 5일부터 중국, 홍콩, 마카오에서 출발한 승객을 대상으로 탑승 48시간 이내 시행한 PCR 또는 신속항원검사(RAT) 음성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제3국을 경유해 미국에 도착한 승객과 미국을 경유해 최종적으로 다른 목적지로 향하는 승객들에게도 적용된다.
이에 대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잠재적인 새 변이 바이러스를 식별하고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동안 바이러스 확산을 늦추고자” 이러한 조치를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 당국이 “적절하고 투명한” 코로나19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했다고 비난하면서, 이러한 데이터 제공이야말로 감염 확산세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새로운 변이 출현 가능성을 줄이는데 “핵심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에선 확진 신고 의무화가 중단되고 코로나19 사망자 분류 체계도 변하면서 실제 확진자 및 사망자 수를 알기란 쉽지 않다.
당국은 지난 25일 일일 확진자 수 발표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29일 중국의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대한 “EU의 조정된 대응을 위한 가능한 조치”를 논의하고자 보건 안보 위원회를 소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벨기에에서도 관광 중심지인 브뤼허 시장은 중국발 관광객들에 대해 의무적인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하거나 백신 접종 확인 증명서를 요구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EU 회원국이자 2019년 말과 2020년 바이러스가 크게 유행했던 이탈리아는 이미 중국에서 출발한 모든 승객에 대한 의무적인 코로나19 검사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이탈리아 보건부 장관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고 확인”하고 “이탈리아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의무 검사 발표 전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공항에선 중국에서 도착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했다.
현지 언론인 ‘라 레푸블리카’의 보도에 따르면 26일 중국에서 말펜사 공항으로 온 비행기 1편의 승객 중 52%가 양성으로 확인됐다.
중국발 여행객에 유사한 제한 조치를 발표한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일본 당국은 오는 30일부터 중국발 여행객들은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발표했다. 양성일 경우 최대 7일 동안 격리해야 한다. 아울러 중국에 오가는 항공편 수도 제한하기로 했다.
- 인도는 중국 등 다른 아시아 4개국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코로나19 음성 결과를 제출하도록 했다. 양성일 경우 격리하게 된다.
- 대만은 오는 1월 1일부터 1월 31일 동안 중국 본토를 오가는 선박 및 비행기로 도착한 승객들은 도착 즉시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양성일 경우 자택 격리될 수 있다.
- 말레이시아는 추가적인 추적 및 모니터링 조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중국발 여행객을 별도로 규제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중국과 전 세계의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는 30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정책을 발표할 계획이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신속항원검사나 PCR 검사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2023년 새해에 달라지는 5가지는?
- 빌라왕 사태: 2030 젊은 층이 먹잇감이 되는 이유
- 터널 화재: 과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 화재로 최소 6명 사망
- 우크라 군정보국장, ‘전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
- ‘채팅방에서 제 사진을 돌려보며 비웃었어요’…비만혐오에 맞서는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