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방역당국이 2일부터 중국발 내·외국인 입국자에 대해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의무화했다. 5일부터는 입국시 코로나19 검사 결과를 제출하도록 했다.
중국이 지난 3년 가까이 이어온 코로나19 규제를 완화하면서 중국발 여행객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일본, 미국, 영국, 이스라엘, 인도 등 해외 여러 국가들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의무를 강화하고 나섰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사전 및 사후 검사 의무는 각각 이달 5일, 2일부터 적용돼 다음달 28일까지 유지된다.
도착 시 코로나19 검사의 경우, 내국인이나 장기 체류 외국인은 거주지 근처 보건소에서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단기 체류 외국인의 경우 공항 내 검사 센터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검사 받아야 한다.
한국 정부는 또 중국발 운항 항공편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약 5%인 현 수준에서 일부 축소하고 추가 증편을 제한한다.
현재 인천, 김해, 대구, 제주로 도착하는 중국발 항공기는 인천공항으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김해, 대구, 제주 등 지방으로 도착하는 항공편 주3회가 2일부터 잠정 중단됐다.
한편 한국 외교 당국은 중국 내 공관에서의 단기 비자 발급을 이달 2일부터 31일까지 제한한다.
전체 해외유입 확진자 중 중국발 입국자 비중 증가
한국 방역당국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일련의 코로나19 규제 강화 조치를 실시하기로 한 데는 최근 전체 해외유입 코로나19 확진자 중 중국발 입국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 작용했다.
특히 이달 8일부터 중국이 해외발 입국자에 대한 시설 격리 조치를 폐지하는 등 입국제한 조치를 대거 해제하기로 한데다 이달 21일부터 27일까지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 휴 기간이 예정돼 중국인들의 해외 여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도 고려됐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체 해외유입 확진자 중 중국발 입국자의 비중은 지난해 11월 1.1%에서 12월 14.2%로 12배 이상 급증했다.
특히 12월 24일부터 31일까지 해외유입 코로나19 확진자 중 중국발 입국자 비중은 약 22~35% 수준을 기록해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편, 한국 방역당국은 단기체류 외국인의 증가에 대비해 하루 최대 550명까지 검사가 가능한 인력과 시설을 확보하고 검역 지원인력 약 500명의 검역 지원인력을 배치했다. 단기체류 외국인은 도착 즉시 공항에서 검사를 받은 뒤 공항 내 별도 시설에서 결과가 나올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
중국 내 코로나 확진자 폭증 상황
중국이 거의 3년 만에 일반 내·외국인에 대해 사실상 국경 재개방에 나서고 있지만 중국 내 코로나19 확규제 완화 후 바이러스 확산 속도도 아주 맹렬하다.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관련 데이터 공개를 중단한다고 밝히면서, 일일 사망자 수 및 확진자 수 또한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태지만 전국적으로 의료 시설이 포화상태이고 노인 사망자 수가 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의 의료 데이터 분석 기업 ‘에어피니티’는 지난달 중국에서 매일 100만여 명이 새로 감염되며, 5000여 명이 사망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에어피니티는 현재 추세로 중국의 코로나19 사망자가 약 130만 명에서 최대 210만 명까지 이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일일 감염자 수가 계속 증가해 1월 중순에는 약 370만 명, 3월에는 약 420만 명의 정점을 찍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이달 8일부로 코로나19에 대한 방역대책을 A급 전염병 대응책에서 B급 대응책으로 단계를 낮추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해외 입국자 뿐 아니라 확진자에 대한 격리 조치도 철회된다.
중국 입국 시 요구되던 PCR 검사 음성증명은 유지되지만, 입국 후 바이러스 검사 의무는 해제된다.
한국 방역상황도 안심할 수 없어
한편 한국 방역당국은 최근 방역상황에 대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중국보다 약 8~9개월 앞선 지난해 4월 25일부터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을 제1급에서 제2급으로 하향했다. 당시 단계적으로 격리의무를 해제하기로 결정했지만 7일 격리 의무는 아직 유지되고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한국 정부는 지난달 23일 코로나19 방역조치인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에 대해 방역 여건이 좋아질 경우 단계적으로 해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시기를 특정하지는 않았다.
결국 현재의 방역상황이 여러 조치를 완화할 수 있는 조건을 ‘미충족’한다는 이야기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을 위해 한국 방역 당국이 제시한 4개 지표 가운데 현재로선 의료대응 역량 정도만 충족하는 수준으로, 중국발 코로나 확산 우려를 감안할 때 유행 안정화에 따른 의무화 해제 논의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새해 첫날 코로나 확진자 수는 2만 2735명으로 한 주 전에 비해 약 2,700명 감소했다. 지난주부터 6일째 유행 증가세가 완화하는 추세지만 그 바로 전주까지는 증가세가 이어졌다.
특히 위중증과 사망자 지표가 점점 나빠지고 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새해 첫날 전날보다 1명 늘어난 637명, 하루동안 코로나19로 숨진 사람은 53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18∼24일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는 전주 464명에서 13.8% 증가한 528명,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는 46명에서 20.7% 늘어난 56명이었다.
한편,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 추세에 비해 더 가파른 위중증과 사망자 수 증가 추세에 대해 한국 방역 당국은 ‘숨은 감염자’가 그만큼 많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지난달 28일 브리핑에서 “현재 전체 확진자 중에서 60세 이상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이전보다 높아져 있다”며 “(젊은 층) 검사 기피 현상이 일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젊은 층은 검사를 받지 않는 경향이 있어 현재 유행 상황을 제대로 반영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위중증·사망자 수는 통계에 그대로 드러난다.
다른 나라들은 중국발 입국자에 어떤 조치 하고 있나
영국, 미국, 일본, 프랑스, 스페인, 인도, 대만 등 다른 나라들도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19 방역 조치를 강화하고 나섰다.
영국은 5일부터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전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8일부터는 변이 추적을 위해 중국발 승객 일부를 대상으로 입국 후 샘플 검사를 실시한다.
프랑스 정부도 새해부터 중국 입국자를 대상으로 한 규제 조치를 시행했다. 프랑스행 항공기에 탑승하는 중국인들은 음성 결과를 제시해야 한다. 또 프랑스 정부는 중국발 입국자들에 대해 무작위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실시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5일부터 중국 본토와 마카오, 홍콩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이틀 이내에 실시한 코로나19 진단검사 음성 확인서를 제출하게 했다.
일본의 경우 한국처럼 중국발 비행기가 이용할 수 있는 공항을 제한하는 등의 방역조치를 지난달 30일부터 실시했다.
이에 따라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에서 출발하는 항공편은 도쿄 나리타와 하네다, 오사카 간사이, 나고야 주부 등 4개 국제공항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결과적으로 중국발 여행객들은 일본 내 다른 관광지인 홋카이도와 오키나와, 후쿠오카 등으로 직접 입국할 수 없다.
한편 일본은 오는 30일 0시부터 중국 본토 입국자 혹은 7일 이내 중국 본토를 경유한 입국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한다.
- IMF 총재, ‘올해 세계의 3분의 1이 경기 침체일 것’
- 북한: 한국 ‘적’ 규정하고 미사일 내세운 북한…불안감 방증일까?
- ‘키 289cm’ 세계 최장신 후보 등장
- 룰라 브라질 대통령 취임 선서…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미국행
- ‘아바타 2’: 시각 효과의 미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