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지난 11일(현지시간) 임명한 지 3개월 만에 세르게이 수로비킨을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휘하는 총사령관직에서 해임했다.
후임으로는 발레리 게라시모프 총참모장이 임명돼 앞으로 푸틴 대통령의 “특별 군사 작전”을 이끌 예정이다.
수로비킨은 최근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에 대한 무차별적 공격을 진행한 바 있다.
최근 몇 달간 패배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러시아는 현재 동부 전선에서 성과를 이루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 와중에 총사령관이 전격 교체된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지난해 2월 24일부터 줄곧 이어지고 있다.
게라시모프는 2012년부터 총참모장을 맡으며 소련 이후 시절 기준 러시아에서 총참모장직을 가장 오래 맡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한편 이번에 부사령관으로 밀려난 수로비킨은 시리아 알레포 지역에 가한 집중 폭격 등 이전 전쟁에서 보여준 무자비한 모습으로 인해 “아마겟돈(대전쟁) 장군”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지난해 10월 수로비킨이 우크라이나 전쟁 총사령관으로 임명된 직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기반 시설을 파괴해나가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민간인 수백만 명이 한겨울임에도 장시간 전기 없이 버티고 있다.
또한 수로비킨이 총사령관이던 시절 러시아군은 남부 요충지 헤르손에서 철수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군에는 주요 성과다.
한편 러시아 국방부는 게라시모프의 총사령관직 임명은 “부대 활동을 긴밀하게 조정하고 모든 병참 활동의 효율성과 질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수로비킨의 커지는 권력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이라는 해석도 있다.
군사 분석가 롭 리는 트위터를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 총사령관으로서 수로비킨의 힘은 매우 강력해지고 있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과 게라시모프 총참모장을 제치고 푸틴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지하면서도 전쟁 수행 방식에 줄곧 불만을 표하는 러시아 내 강경 군사 블로거 중에는 게라시모프를 포함해 우크라이나 전쟁 새 지도부에 크게 부정적인 이들도 있었다.
한편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솔레다르에선 전투가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군 입장에선 솔레다르 점령 시, 도시 전체를 사정거리로 삼을 수 있는 안정적인 포병 진지를 구축할 수 있기에 남서쪽으로 약 10km 떨어진 요충지 바흐무트 공격이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솔레다르에는 군이 주둔하거나 장비를 저장할 수 있는 대규모 소금 광산이 자리하고 있다.
러시아 민간 용병단인 ‘바그너 그룹’은 자신들이 솔레다르를 “점령”했다고 주장했다. 예브게니 프리고진 바그너 그룹 수장은 10일 밤 솔레다르를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음날인 11일 러시아 국방부는 프리고진의 주장과 모순되는 듯한, 혹은 바그너 그룹만 연루된듯한 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11일 저녁 프리고진은 텔레그램을 통해 바그너 용병들이 우크라이나군인 약 500명을 죽였다고 자랑하는 한편 “우크라이나 군인들의 시신이 솔레다르 전체에 널려 있다”고 밝히는 등 주장을 거듭 반복했다.
우크라이나 측 또한 최근 러시아군 시신으로 가득하다는 등의 비슷한 언급을 했으나, 독립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미국의 위성 데이터 서비스기업인 ‘맥사 테크놀로지스’가 공개한 솔레다르의 지난해 8월 및 이번 달 초 모습을 통해 최근 벌어진 전투 및 이로 인한 피해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https://twitter.com/Maxar/status/1613283217624399872
<트위터 내용: 2022년 8월 1일 및 2023년 1월 10일 자 솔리다르 위성 이미지. 아파트 건물 여러 채가 전부 파괴된 모습이다. >
이렇듯 솔레다르를 둘러싸고 특히 러시아 국방부와 바그너 그룹 간 입장차를 보이면서 러시아 군 내부 분열 의혹이 제기됐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솔레다르 함락설을 부인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1일 밤 연설에서 “테러 국가와 그 선동가들은 자신들이 마치 솔레다르에서 부분적으로 성공을 거둔 것처럼 가장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전투는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우크라이나군의 힘을 키우기 위해 하루도 멈추지 않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우리의 잠재력은 점점 더 향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관계를 지속하게 하는 ‘사소한’ 것들의 힘
- 기후변화: 엘니뇨’와 ‘라니냐’는 전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 양자경: 미셸 여 골든 글로브 여우주연상 수상… 아시아 최초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할까?
- 스파이: 북한 간첩 사건마다 언급되는 ‘문화교류국’은?
- 이란에서 수감된 운동가 세피데 콜리얀, 편지로 잔혹한 현실 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