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새벽 제주 서귀포 남동쪽 80해리 한일중간수역에서 홍콩 화물선이 침몰했다. 오전 9시 45분 기준 탑승선원 22명 중 5명이 구조됐고 나머지 17명은 아직 행방불명 상태다.
제주지방해양경찰청은 이날 오전 3시 7분쯤 제주 서귀포시 남동쪽 148.2km 한일중간수역 해상에서 항해 중이던 홍콩 선적 원목 운반 화물선 JIN TIAN호(6551t)의 조난위치 자동발신장치(EPIRB,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가 작동했다고 밝혔다.
EPIRB는 선박 침몰시 자동으로 조난신호를 발신해 사고 위치를 알려주는 장치로, 바닷속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터지면서 물 위로 떠올라 조난신호를 보낸다.
선박제원정보상 해당 선박에는 중국인 14명, 미얀마인 8명 등 총 22명이 승선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선박은 앞서 이날 오전 1시 47분쯤 사람이 버튼을 눌러 작동하는 DSC(Digital Selective Calling) 조난신호를 보냈고, 제주해양경찰청은 인근 해역에 있던 1500톤급 경비함정을 긴급 출동시켰다. 이후 오전 2시 41분쯤 위성 전화 중 해당 선박의 선장으로부터 선박을 포기하고 모든 승선이 퇴선한다는 말을 끝으로 연락이 끊겼다.
해경이 현장에 출동했을 당시 사고 화물선은 완전히 침몰한 상태였다. 이에 따라 해경은 EPIRB 신호가 자동 수신된 오전 3시7분쯤 해당 선박이 침몰한 것으로 보고 있다.
탑승 인원 22명 중 5명은 사고 선박 주변에서 수색 중이던 수색 세력에 구조됐다.
제주해경 고속단정에서 발견한 구명벌 3대와 구명정 2대에는 탑승 인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경은 일본 해상보안청과 공동으로 해상에 표류 중인 선원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구조 작업에는 항해 중이던 화물선과 일본 해상보안청 경비함정, 항공기 등도 투입됐다.
한편, 한일 중간수역인 사고 해역에는 풍랑경보가 발효됐다. 7시 기준 파고는 3~4m, 북서풍의 속도는 16m/s, 수온은 18.5도로 파악됐다.
- 우크라 전쟁: ‘독일이 우크라에 전차 지원 승인’ 독일 현지 언론 보도
- 중국 코로나 사망자 증가로 ‘관이 부족하다’
- 인도 영화 최초로 오스카 주제가상 후보에 오른 영화 ‘RRR’의 ‘나아뚜 나아뚜’
- 북한인권: 미국, 6년 만에 북한인권특사 지명, 이유는?
- 미 캘리포니아서 이틀 만에 또 총기 난사로 7명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