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을 수 있다. 30일부터 병원과 대중교통 등을 제외한 장소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지는 것은 지난 2020년 10월 이후 27개월여 만이다.
이에따라 학교와 유치원 및 헬스장, 수영장에서는 마스크 착용이 자율로 전환된다.
다만, 감염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의료기관과 약국, 감염 취약시설,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는 당분간 유지된다.
또 등교, 학원 등원 등을 위한 통학차량을 이용해도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엘리베이터 등 환기가 어려운 실내 환경에서 다수가 밀집해 다른 사람과 물리적으로 1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 했다.
대형마트, 백화점, 쇼핑몰 등 대중시설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지만 마트 내에 있는 약국에서는 마스크를 써야 한다.
이외에도 병원 및 감염취약시설에선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벗으면 안 되는 곳은?
- 의료기관
- 약국 (대형마트 내 약국 포함)
- 감염취약시설: 요양병원, 장애인복지시설 및 장기요양기관
- 대중교통수단: 플랫폼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지만 승차전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 학교 등원 및 학원 등원 통학차량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9일 이러한 시행을 알리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공간이라 하더라도 ▲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거나 의심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 고위험군이거나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 최근 2주 사이 확진자와 접촉한 경우 ▲ 환기가 어려운 3밀(밀접·밀집·밀폐) 실내 환경에 있는 경우 ▲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합창·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 마스크 착용을 강력히 '권고'했다.
방역 당국은 당분간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 의무시설에는 마스크 착용 지침을 게시해 ‘착용 의무 시설’을 안내하도록 했다.
- 기후변화: 알프스도 위기, 겨울 스키장의 운명은?
- 만 나이: 여러 달력을 보며 살아가는 사람들
- 바그너 그룹: 러시아 용병단은 어떻게 우크라이나에서 주류로 등극했나
- 난소암: 약 구매 이력으로 난소암 발견할 수 있어
- 주 4일제: 주 4일 근무는 실제로 얼마나 확산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