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29일(현지시간) 러시아 선수들의 2024년 파리 올림픽 출전 허용은 “테러 행위는 어느 정도 용인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출전 금지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게 이러한 문제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올림픽을 선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전쟁 발발 이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올림픽에 중립 선수로 출전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의 출전이 허용될 경우 오는 파리 올림픽에 불참하겠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영상 연설을 통해 “러시아 선수들을 올림픽 경기에 복귀시키려는 IOC의 시도는 테러 행위가 어느 정도 용인될 수 있음을 전 세계에 보여주는 행위”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침략이나 맹목적 애국주의를 선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올림픽이나 다른 스포츠 행사를 이용하게 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주 IOC 측은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중립 선수” 신분으로는 출전할 수 있다며, “여권(국적)을 이유로 선수의 출전이 금지돼선 안 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자국 선수들은 전쟁터에서 죽어가고 있는 이 상황에서 스포츠에 중립성은 있을 수 없다는 게 젤렌스키 대통령의 주장이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치가 독일에 집권했을 때인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을 언급하며 “과거 올림픽에선 큰 실수가 있었다”고 말했다.
“올림픽과 테러리스트 국가가 한자리에 있어선 안 됩니다.”
한편 영국 정부 또한 “중립 선수” 계획은 “전쟁의 현실에서 벗어난 세계”라며 비난했다.

한편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 지역에선 지난 28일 온종일 이어진 러시아의 포격으로 3명이 사망한데 이어 다음날인 29일에도 밤이 깊도록 공격이 이어졌다.
헤르손 현지 당국은 6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중 2명은 병원 건물이 공격받을 때 다쳤다고 설명했다.
28일엔 포격이 거의 40번 가까이 발생했으며, 29일에도 계속 이어졌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헤르손은 작년 2월 침공 이후 러시아군이 장악한 유일한 주도였으나, 그해 11월 결국 굴욕적으로 철수한 곳이다.
한편 젤렌스키 대통령은 동부 도네츠크 지역에서의 러시아 공세 또한 한층 강화됐다면서,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가 지속해서 공격하는 “매우 힘든” 상황에 맞서기 위해 새로운 무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이번 전쟁이 길어지면서 우리 군이 소진되길 바란다”는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래서 우린 시간을 무기로 삼아야 한다. 흐름과 물자 보급 등에 속도를 높이는 한편 우크라이나군에 새로운 무기 선택지를 열어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 이란 시위: 이란 정부가 휴대전화로 시위대를 감옥에 보내는 방법
- 도널드 트럼프의 2024년 대선 운동, 이번은 다르다?
- 미 경찰 과잉 진압 논란: 타이어 니콜스 측 변호사, ‘경찰 개혁안 통과 촉구’
- 실내서도 마스크 벗는다…30일부터 달라지는 기준은
- 기후변화: 알프스도 위기, 겨울 스키장의 운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