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사이 전남 신안군 임자면 대비치도 인근 해상에서 어선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승선원 12명 중 3명이 사고 발생 초기 구조됐지만 5일 정오까지 나머지 9명은 실종상태다.
5일 목포해양경찰서에 따르면, 4일 오후 11시 19분께 신안군 임자면 대비치도 서쪽 9해리(16.6km)해상에서 12명이 탄 24톤급 근해통발(인천선적) 어선 A호가 전복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승선원 중 한 명이 ‘배에 물이 차고 있다’며 신고했다.
해경은 사고 신고 접수 즉시 경비함정, 헬기 등 가용세력을 현장에 급파하는 동시에 목포VTS(해상교통관제시스템)을 통해 사고 해점으로부터 4해리(7.4km)에서 항해 중인 상선에 요청해 승선원 3명을 구조했다.
구조된 3명은 한국인 2명, 인도네시아인 1명으로 구조 당시 저체온증을 호소했지만 현재는 건강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조된 선원들은 ‘기관실에 갑자기 바닷물이 차오르며 순식간에 배가 뒤집혀 전복됐다’고 사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아직까지 실종 상태인 9명은 한국인 7명, 베트남인 2명으로 해경과 해군 등 관계 당국의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밤사이 사고 해점을 중심으로 동·서 15해리(27.8 km), 남북 15해리 27.8 km 해역을 9개 구역으로 나눠 수색했다.
또 시야 확보를 위해 조명탄을 196발 발사했고, 서해지방해양경찰청 목포회전익항공대 항공구조사와 서해해양특수구조대원 등 9명이 총 5회에 걸쳐 수중수색을 실시했다.
관계 당국은 야간에 이어 주간에도 함선 34척과 항공기 8대를 투입하고 해경 구조대원들이 수중수색을 벌이는 등 실종자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밤사이 사고 해역 기상은 북서풍이 불고 파고는 0.5~1m를 기록했으며 시계 2m, 구름 60%로 흐린 상태였다.
한편, 이번 전복 사고로 구조된 3명 외에 실종자 9명은 대부분 선체에서 이탈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승환 해양수상부 장관은 실종자 가족들에게 “사고 당시 기관실 직원들만 기관실에 있고 그 외 직원은 선체 갑판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며 “대부분 선체에서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현재 조류에 대한 분석 시스템을 바탕으로 생존자를 수색하는 중”이라며 “신안, 영광 등의 바다를 포함해 해안가 등을 광범위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해경은 잠수사를 동원해 사고 선박에 대한 진입을 수차례 시도했으나 3000여 개의 통발이 뒤엉켜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어망을 절단해서 오늘 중으로 선내에 진입하고, 전복된 선박의 인양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가입 의사 밝힌 스웨덴과 핀란드, 튀르키예가 가로막는 이유
- 이스마일 마샬: 여성 교육 옹호해 교육 차별 공개 비판한 남자 교수 탈레반에 체포 당해
- 이탈리아 치즈 장인이 페코리노 치즈를 묻어버린 이유
- 비욘세: 올해 그래미상이 ‘퀸 베이’를 어떻게 긴장시킬 수 있을까
- 역사상 가장 나이 많은 개, 기네스북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