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이 10년이 넘는 논의 끝에 바다 보호를 위한 국제해양조약 제정에 합의했다.
지난 4일(현지시간) 유엔 회원국들이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국제해양조약 제정 협상을 타결했다.
조약은 2030년까지 공해의 30%를 보호 구역으로 지정해 어업과 항로 설정, 심해 채굴 등을 제한함으로써 해양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한다.
공해란 모든 국가가 어업, 항해, 연구 등을 할 권리가 있는 구역을 뜻하며, 전체 바다의 3분의 2가량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 중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건 약 1.2%에 불과하다.
다른 주요 조항에는 아래 두 가지 내용이 포함된다.
- 해양 동식물로부터 얻는 생물학적 시료 등 해양유전자원 공유 방식
- 채굴 등 심해활동을 위한 환경평가 조건

연구자들은 남획과 해양 오염 등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위험에 처했다고 경고해왔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지난해 12월 해양 생물의 약 10%가 멸종 위기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 조약은 10여 년 넘는 세월 동안 자금조달과 어업권, 해양유전자원 공유 등을 둘러싼 의견 충돌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국제사회가 해양 보호 관련 협정을 체결한 건 40년 전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이 마지막이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로라 멜러는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라며 “분열된 세계에서도 자연과 인류를 보호한다는 목표가 지정학적 문제를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다만 국가별 비준 절차와 이행 및 관리 조직 설치 등의 과정이 남아있어 조약이 실제 효력을 갖기까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저출산: 자녀를 원치 않는 중국 여성들, 이유는?
- 아프간: 탈레반을 피해 떠난 여기자의 삶은 어떻게 변했을까
- 미켈란젤로·도나텔로…수많은 예술가가 다비드상을 조각한 이유는?
- 건강: 탄 음식은 먹지 말아야 할까?
- 가정폭력: ‘심한 폭력과 심하지 않은 폭력의 차이는 뭘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