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시위대가 2016년 1월 3일 테헤란에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근처에서 행진하는 모습

EPA
사우디아라비아는 2016년 이란의 시위대가 이란 수도 테헤란에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을 습격한 후 이란과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중동 지역 라이벌 이슬람 국가인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외교 관계를 회복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이 갈등 속 관계를 단절한지 7년 만이다.

‘수니파 맹주’ 사우디아라비아는 2016년 1월 자국 정부가 저명한 시아파 무슬림 성직자를 처형한 후 ‘시아파 맹주’ 이란의 시위대가 이란 수도 테헤란에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을 습격한 후 이란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그 이후로 수니파와 시아파가 이끄는 두 이웃 국가 사이의 긴장은 종종 고조되었다.

양국은 서로를 지역 지배를 추구하는 위협적인 세력으로 간주한다. 양국은 또한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 그리고 가장 노골적으로는 예멘을 포함하여 중동 전역의 양쪽 종교 분파 경쟁 세력을 지원한다.

이란은 2014년 사우디아라비아가 지원하는 정부를 몰아낸 예맨의 시아파 무장단체인 후티 반군을 지원했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듬해부터 후티 반군에 대한 파괴적인 공습을 주도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또한 이란이 후티 반군의 공격을 도왔다고 비난했다.

이런 갈등 중 가장 심각한 사건은 2019년 드론과 미사일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석유 시설을 강타하여 피해와 생산 차질을 초래한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와 그 동맹국 미국은 이 공격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해 비난했지만 이란은 이를 부인했다.

이전까지의 화해 시도는 실패했지만 10일 양국은 두 달 안에 대사관 운영을 재개하겠다고 말했다. 양국은 또한 무역 및 안보 관계를 재정립하기로 했다.

미국은 이 발표를 조심스럽게 환영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미 행정부가 “지역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커비 소통조정관은 “이란이 의무를 다할 것인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협상을 중개한 중국에 감사를 표했다.

그의 대변인은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걸프 지역의 항구적 평화와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도울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해 이란에 최대 압박을 가할 것을 촉구해 온 이스라엘은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