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핀에 손가락이 찔려 피가 난 모습

Getty Images

수많은 인도 여성들이 붐비는 공공장소에서 성희롱당한 경험이 있다. 누군가 직접 가슴이나 엉덩이를 만지거나, 가슴 가까이 팔꿈치를 들이대거나, 가까이 몸을 문질러 대는 식이다.

이들에 반격하고자 여성들은 할 수 있는 모든 도구를 총동원했다. 일례로 수십 년 전 서벵골주 콜카타에서 대학생이었던 나와 내 친구들은 사람이 가득 찬 버스와 트램을 타고 등하교하며 우산을 이용했다.

그리고 많은 여대생이 다가오는 손을 할퀴고자 손톱을 길고 날카롭게 길렀다. 또한 승객들이 서로 밀착한 틈을 타 뒤에서 성기를 밀착하는 남성들에게 높은 하이힐로 맞서곤 했다.

그리고 훨씬 더 효과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이들도 있다. 바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옷핀이다.

1849년에 발명된 이후 여성들은 직물을 서로 연결하거나, 갑작스레 옷이 망가졌을 때마다 옷핀을 사용하곤 했다.

그리고 전 세계 여성들은 성희롱에 맞서 싸우고, 또 심지어 피를 내기 위해서도 옷핀을 사용하고 있다.

몇 달 전 트위터에선 언제나 옷핀을 들고 다닌다는 몇몇 인도 여성들의 고백이 이어졌다. 성범죄자들에 맞서 싸우고자 자신들이 선택한 무기라는 설명이다.

이러한 여성 중 하나인 디피카 셰르길은 그러다 실제로 피를 봤던 사건에 대해 적었다. 셰르길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항상 다니던 통근 버스에서 발생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수십 년 전 일이지만, 셰르길은 여전히 사소한 세부 사항마저 선명히 기억하고 있었다.

디피카 셰르길의 모습

DEEPIKA SHERGILL
디피카 셰르길은 몇 달간 자신을 성희롱한 남자에게 맞서 옷핀을 사용했다

당시 20세였던 셰르길을 괴롭히던 건 40대 중반의 남성으로, 언제나 회색 사파리(특히 공무원들이 즐겨 입는 인도의 남성 정장) 차림에 발가락이 보이는 샌들을 신고, 직사각형의 가죽 가방을 들고 다녔다고 한다.

“그 남자는 늘 제가 앉아있던 쪽으로 다가왔습니다. 제게 몸을 기대곤 제 등에 사타구니를 문지르고, 운전사가 브레이크를 밟을 때마다 제 쪽으로 넘어지곤 했습니다.”

당시 “매우 소심한 성격으로 관심을 끌고 싶지 않았”던 셰르길는 몇 달간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한 채 고통받았다.

그러던 어느날 밤, “그 남성이 내 어깨 위로 자위하고 사정하자” 셰르길은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럽혀진 기분이었다”는 셰르길은 “집에 오자마자 오랫동안 샤워했다. 어머니에게도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지 말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그날 밤 저는 잠들지 못했습니다. 회사를 그만둘까도 생각했지만, 이내 복수하겠다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육체적인 해를 끼치고, 다치게 하고, 다시는 제게 이런 짓을 하지 못하게 만들고 싶었습니다.”

다음날 셰르길은 평소 신던 굽 없는 구두를 두고 하이힐을 신었다. 그리고 옷핀으로 무장한 채 통근 버스에 올라탔다.

“그 남자가 제게 가까이 서자마자 자리에서 일어나 그 남자의 발가락을 힐로 짓눌렀습니다. 숨을 헐떡이더군요. 기뻤습니다. 그리고 옷핀을 꺼내 팔뚝을 찌르곤 재빨리 버스에서 내렸습니다.”

셰르길은 그 이후 1년간 같은 통근 버스를 탔지만, 이후로 다시는 그 남성을 보지 못했다.

이는 충격적이지만, 안타깝게도 인도에선 드문 경험이 아니다.

버스에 올라타는 인도 여성의 모습

Getty Images
많은 인도 여성들이 붐비는 대중교통에서 성희롱을 당한 경험이 있다

30대인 어느 여성 동료는 남부 케랄라 주 고치와 벵갈루루 지역을 오가는 야간 버스에서 어느 남성이 반복적으로 자신을 더듬으려 했다고 털어놨다.

“처음엔 우연이라고 생각하면서 그를 뿌리쳤다”는 이 여성은 남성이 행동을 멈추지 않자 비로소 의도적이라는 걸 깨달았다.

그리고 스카프를 매기 위해 들고 있던 안전핀이 “그날 자신을 구했다”는 설명이다.

여성은 “옷핀으로 그 남성을 찔렀다. 물러나면서도 계속 반복해서 성희롱을 시도했다. 그래서 계속 찔렀다. 그랬더니 마침내 물러났다”면서 “옷핀이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당시 그 남성의 뺨을 때리지 못해 바보같이 느껴진다”고 덧붙였다.

“어렸을 땐 내가 관심을 끌면 사람들이 나를 지지해주지 않을까 걱정했다”고 한다.

실제로 여권 운동가들은 대부분 여성이 두려움과 수치심으로 위축되며, 이 때문에 성범죄자들이 더 대담하게 굴며 문제가 커진다고 지적했다.

지난 2021년 인도 내 140개 도시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56%가 대중교통에서 성추행을 당했다고 응답했으나, 경찰에 신고했다는 비율은 2%에 불과했다.

대다수는 현장에서 직접 조치에 나서거나, 상황을 무시하는 쪽을 택했으며, 큰 소리가 나는 상황을 만들기 싫어 그저 자리를 피했다고 답했다.

그리고 52% 이상이 “(성폭력에 대한) 불안감”으로 교육 및 취업 기회를 거절했다고 말했다.

여성에게 더 안전한 공공장소를 만들고자 노력하는 ‘세이프티핀’의 공동 설립자인 칼파나 비스와나트는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은 실제 폭력보다 여성의 정신과 (사회) 활동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지하철 여성전용칸을 이용하는 인도 여성들의 모습

Getty Images
수도 델리에선 지하철 한 칸이 여성전용칸으로 지정돼 있다

“(두려움으로) 여성들은 스스로의 행동반경을 제한하기 시작하고, 이렇게 되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게 됩니다. 성추행은 그 자체 행위보다 훨씬 더 여성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비스와나트는 여성을 향한 성희롱은 단지 인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의 문제라는 점도 지적했다. 실제로 ‘톰슨 로이터 재단’이 런던, 뉴욕, 멕시코시티, 도쿄, 카이로의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성범죄자들은 대중교통이 붐비는 시간을 이용해 숨어들며, 혹시 붙잡혀도 이를 핑계로 사용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비스와나트는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서도 옷핀을 지니고 다니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미 ‘스미스소니언 매거진’에 따르면 심지어 1900년대에도 미국 여성들은 너무 가까이 다가오는 남성들을 찌르고자 모자핀을 사용했다고 한다.

한편 공공장소에서의 성희롱 부문에 있어 몇몇 글로벌 설문조사에서 1위를 차지한 불명예에도 불구하고 인도 사회는 이를 큰 문제로 인식하지 않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비스와나트는 신고율이 낮아 범죄율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 여성을 괴롭히는 건 그 남성이 그 여성을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메시지를 던지는 영화의 영향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몇몇 도시에선 상황이 나아졌다는 게 비스와나트의 설명이다.

수도 델리에는 버스에 패닉 버튼과 CCTV 카메라가 설치돼 있으며, 여성 운전사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게다가 버스와 지하철 운전사가 여성 승객에 더 세심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버스엔 보안관이 배치됐으며, 경찰은 여성들이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앱과 핫라인을 내놨다.

그러나 비스와나트는 공공장소에서의 성희롱이 비단 치안 문제만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가장 중요한 해결책은 우리 사회가 이 문제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해야 마련될 수 있습니다. 무엇이 하면 안 되는 행동인지 대중을 가르칠 공공 미디어 캠페인이 이뤄져야 합니다.”

그런 날이 오기 전까지 셰르길과 내 동료들 등 인도 여성 수백만 명은 여전히 옷핀을 들고 다닐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