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밤 서울 강남 주택가에서 여성이 납치·살해돼 지역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 목격자의 신고를 받은 경찰이 인근 폐쇄회로(CC)TV 분석 등으로 용의자를 특정해 31일 3명의 용의자를 차례로 체포했지만 피해자는 주검으로 발견됐다. 사건을 맡은 서울 수서경찰서는 1일 언론 브리핑에서 “체포된 피의자 중 한 명이 금전 목적으로 범행했다는 취지로 진술해 진위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또 “피의자 2명이 피해자를 범행 대상으로 지목한 뒤 범행을 공모했고, 나머지 한 명은 범행도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역할 분담 등 정확한 경위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이들이 범행 2~3개월 전부터 피해자를 미행하고 범행 도구를 준비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를 인용한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용의자들과 피해자 모두 가상자산(암호화폐) 관련 사건에 연루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앞서 지난 29일 밤 11시 48분께 강남구 역삼동 한 아파트 앞에서 “여성을 차에 강제로 태워 납치하는 것 같다”는 내용의 목격자 신고를 받고 30세 A씨와 36세 B씨를 용의자로 특정해 추적했다.
폐쇄회로TV에는 두 사람이 저항하는 여성을 끌고 가 도로변에 미리 세워둔 차량에 태우고 현장을 떠나는 장면이 담겼다.
이들은 이 여성을 태우고 이동해 이튿날 오전 대전에서 차를 버린 뒤 렌터카로 충북 청주로 이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버려진 차량에서는 핏자국과 범행 도구로 추정되는 흉기 등이 발견됐다.
이들은 이후 청주에서 렌터카를 버리고 같은날 오전 9시 30분께 택시를 이용해 성남시로 이동했다.
경찰은 다음날인 31일 오전 10시 45분께 성남 모란역에서 A씨를, 오후 1시15분께 성남 수정구의 한 모텔에서 B씨를 각각 붙잡았다.
이어 경찰은 이들에게 공범이 더 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이날 오후 5시 40분께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서 35세 C씨를 체포했다. C씨는 납치행위에 가담하지 않았지만 공범 진술 등을 통해 피의자로 특정됐다.
용의자들은 경찰 조사에서 피해 여성을 대전에서 살해한 뒤 대청댐 인근 야산에 유기했다고 진술했고, 경찰은 이날 지목된 장소에서 시신을 발견하고 신원을 확인했다.
한편 납치 현장 목격자의 신고에도 불구하고 피해자가 결국 사망해 경찰이 초동 대응을 더 빠르게 했어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경찰이 112 신고를 접수한 지 9시간여 만인 30일 오전 9시쯤 경찰 출동 최고 수준 단계인 ‘코드제로’를 발령했지만 이미 ‘너무 늦었다’는 지적이다.
경찰은 이에 대해 1일 언론 브리핑에서 “출동 3분여 만에 현장에 도착했다”면서 “초동조치는 잘 됐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