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최고위원직을 자진 사퇴한 것을 두고 정치권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잇단 논란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만큼 다음 총선 출마의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의견에서부터, 최고위원직은 물론 의원직도 내려놔야 한다는 비판까지 다양한 주장이 나온다.
태영호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모든 논란은 전적으로 저의 책임”이라며 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저의 부족함으로 최근 여러 논란을 만들어 국민과 당원들, 당과 윤석열 정부에 큰 누를 끼쳤다”며 “저의 논란으로 당과 대통령실에 누가 된 점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태 의원의 기자회견 직후 야당은 즉각 반발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태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실에는 사죄해도 국민에게는 사죄하지 않았다”며 “최고위원이 아니라 국회의원을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BBC코리아와의 통화에서 “태영호 의원이 당에 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면서 자진 사퇴를 했기 때문에 이런 점을 참작해줘야 한다”며 “당원권 정지를 하더라도, 다음 총선 출마의 기회를 줘야 한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특히 “북한 출신인 태영호 의원은 대한민국에 상징성이 있는 자산”이라며 “스스로 물러났다는 점을 고려해 윤리위에서 ‘당원권 3개월 정지’ 혹은 최대 ‘6개월 정지’ 등의 결정으로 총선 출마기회를 열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탈북민 출신 첫 지역구 의원인 태영호 의원은 그동안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여당 간사를 맡는 등 21대 국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여왔다.
태 의원은 특히 지난 3월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새 지도부를 선출한 국민의힘 ‘3.8 전당대회’에서 13.11% 득표율로 최고위원에 당선되며 주목 받았다.
그러나 최근 ‘제주 4.3사건은 북한 김일성 지시로 촉발됐다’는 발언과 더불어민주당을 종교집단에 빗댄 게시물을 올리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여기에 지난 1일 이른바 ‘대통령실 공천 개입’을 시사하는 녹취가 공개되며 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했다.
태 의원은 최근 윤리위 회의에 참석해 자신의 입장을 적극 항변했지만, 당 내부에서 자진 사퇴가 정치적 해법이라는 여론이 확산하자 결국 최고위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위원이 자진 사퇴를 선택할 경우 당 지도부는 전국위를 통해 최고위원을 다시 충원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도부의 부담이 덜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태 의원이 자진 사퇴와 당원권 1년 이상 정지 가능성을 두고 상당한 고민을 했다는 해석이 나오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당 지도부도 징계 수위를 두고 많은 고심을 했고, 결국 태 의원에게 정치적 결단을 해라, 즉 ‘자진 사퇴를 하라’는 메시지를 여러 방법을 통해 시사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