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젤렌스키, ‘러시아가 바흐무트 점령한 것 아냐’

조회수  

연설 중인 젤렌스키 대통령

EPA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21일(현지시간) 최대 격전지인 동부 바흐무트가 러시아에 “함락당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앞서 러시아 용병단 ‘바그너 그룹’의 예브게니 프리고진 수장은 바흐무트 점령을 주장한 바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G7 정상회담 참석차 일본 히로시마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히며 항전 의지를 다졌다.

우크라이나 군 소식통 또한 BBC에 여전히 자신들이 바흐무트 외곽에 있는 건물 몇 채는 통제하고 있다고 전했다.

G7 정상회담 마지막 날이었던 2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바흐무트 함락설과 관련해 정확한 세부 사항은 밝히지 않았으나, “오늘 현재 기준으로” 바흐무트는 러시아에 함락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바흐무트는 지난해 8월 이후 이번 전쟁에서 가장 길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이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앞서 바흐무트와 관련한 발언으로 혼선을 빚었던 젤렌스키 대통령은 “(내가) 한 말은 2~3가지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고도 덧붙였다.

반면 이보다 앞선 지난 20일 프리고진 수장은 영상을 통해 바흐무트에서 러시아군의 공세를 이끌었던 바그너 용병단이 도시를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젤렌스키 대통령은 바흐무트를 2차 세계대전에서 원폭 피해를 입은 히로시마에 비유하며, 우크라이나 또한 이처럼 “재건”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지난 21일에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함께 히로시마에 자리한 ‘평화 기념 공원’을 방문해 위령탑에 참배했다. 1945년 미국이 히로시마에 투하한 원자폭탄의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평화를 기원하고자 조성된 곳이다.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을 방문한 젤렌스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EPA
21일 히로시마 ‘평화 기념 공원’을 방문한 젤렌스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기시다 총리와의 회담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은 언론 앞에서 연설하고자 기념 공원 내 강당으로 이동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입장하자 뒤쪽에 앉아있던 어느 기자가 “슬라바 우크라이니(우크라이나에 영광을)”라고 외쳤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동의하듯 고개를 살짝 끄덕였다.

그렇게 시작된 언론 인터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히로시마와 우크라이나가 유사한 점이 있다고 설명하며, 폭격 후 폐허가 된 과거 히로시마의 사진을 보며 현재의 바흐무트가 떠오른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히로시마 주민들은 자신들의 도시를 재건했다. 우리도 조국을 재건하길 꿈꾼다”면서 우크라이나의“재건과 회복” 의지를 다졌다.

그런데 젤렌스키 대통령이 “오늘날 바흐무트는 우리 마음속에만 있다”고 말하며 바흐무트 함락설을 둘러싸고 혼란을 빚었다.

이에 대해 이후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은 바흐무트가 함락된 건 아니라며 분명히 했다.

하지만 바그너 용병 그룹이 바흐무트 대부분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지난 몇 달간 끊임없는 인력 투입 등 바흐무트에 모든 공세를 집중하는 이들의 거침없는 전술에 우크라이나군이 점차 밀리게 된 모습이다.

우크라이나군은 전술적 철군 요구에도 저항하면서 만약 자신들이 물러난다 해도 러시아군은 “피로스의 승리(승리했으나 손실이 너무 커 득이 되지 않는 승리)”를 거두는 꼴이라고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 또한 바흐무트의 우크라이나 군대가 “중요한 업무”를 계속 수행하고 있다고 암시하는 발언을 내놨다.

우크라이나의 한 고위 장성은 우크라이나 군이 바흐무트 외곽에서 진전하고 있으며, “전술적 포위”상태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바흐무트가 러시아 입장에선 전략적 가치가 크지 않으나, 워낙 최대 격전지로 손꼽히는 지역이기에 바흐무트 점령은 이번 전쟁에서 러시아에 가장 상징적인 승리가 되리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지난 여름 러시아가 루간스크주 세베로도네츠크와 리시찬스크 등을 차지하고자 치열하게 싸울 때도 우크라이나군은 곧 다른 영토를 수복하며 맞받아쳤다.

우크라이나는 올해 안에 예상되는 반격에서도 이와 같은 성과를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러시아는 우리의 반격을 느낄 수 있을 것’

한편 일본에서 3일간 열린 이번 G7 정상회의 또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뜨거웠으며, 젤렌스키 대통령은 여러 정상을 만나 더 많은 지원을 요청했다.

그리고 젤렌스키 대통령의 노력은 결국 결실을 봤다. 이번 G7 회담에서 미국이 서방 동맹국이 미국산 F-16을 포함한 첨단 전투기를 우크라이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그러나 아직 우크라이나에 전투기 지원을 약속한 국가는 없다.

동맹국으로부터 F-16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냐는 BBC의 질문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에 대해 연구해 볼 것. (그러나 지원받으리라) 확신한다”면서도 “몇 개국으로부터 얻을 수 있을지 말할 수 없다. 비밀이라는 게 아니라 정말 모른다”고 답했다.

또한 BBC는 계획 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나 지연되고 있는 봄철 반격 시점에 대해서도 물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리가 반격하기 시작하면) 러시아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대답을 내놨다.

CP-2022-0043@fastviewkorea.com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사진으로 보는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 윤 대통령, 11월 영국 국빈 방문…'찰스 3세 대관식 이후 최초'
  • '지구 충돌 가능성' 소행성에서 채취한 샘플, 지구로 무사 귀환
  • 물가 계산기: '나만의 도시락'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 북한, 5년 만에 아시안게임 출전...유도에서 첫 '남북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최신 뉴스

  • 사진으로 보는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 윤 대통령, 11월 영국 국빈 방문…'찰스 3세 대관식 이후 최초'
  • '지구 충돌 가능성' 소행성에서 채취한 샘플, 지구로 무사 귀환
  • 물가 계산기: '나만의 도시락'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 북한, 5년 만에 아시안게임 출전...유도에서 첫 '남북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함께 볼만한 뉴스

           
  • 1
    젤렌스키 UN 연설서 러시아 겨냥해 ‘악은 신뢰할 수 없어’

    BBC 코리아

  • 2
    일본, 사상 처음으로 인구 10명 중 1명 80세 이상… ‘전 세계 최고령’

    BBC 코리아

  • 3
    조종사 탈출 후 ‘실종됐던’ 미 F-35 전투기 잔해 발견

    BBC 코리아

  • 4
    중국 외교 사령탑 왕이, 북러 회담 직후 러시아 방문해 ‘전략 안보 협의’

    BBC 코리아

  • 5
    ‘세 자녀 모두 희소병을 진단받았습니다’

    BBC 코리아

지금 뜨는 뉴스

  • 1
    중국 군부 숙청, 시진핑에게 문제 될까?

    뉴스 

  • 2
    교권 회복 4법 국회 본회의 통과...무엇이 바뀌나

    뉴스 

  • 3
    미국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뉴스 

  • 4
    이재명 대표 두 번째 체포동의안 국회 통과… 앞으로 어떻게 되나

    뉴스 

  • 5
    '뇌에 컴퓨터 칩 심는다'… 머스크의 뉴럴링크, 임상시험 참가자 첫 모집

    뉴스 

[뉴스] 랭킹 뉴스

  • 사진으로 보는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 윤 대통령, 11월 영국 국빈 방문…'찰스 3세 대관식 이후 최초'
  • '지구 충돌 가능성' 소행성에서 채취한 샘플, 지구로 무사 귀환
  • 물가 계산기: '나만의 도시락'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 북한, 5년 만에 아시안게임 출전...유도에서 첫 '남북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함께 볼만한 뉴스

  • 1
    젤렌스키 UN 연설서 러시아 겨냥해 ‘악은 신뢰할 수 없어’

    BBC 코리아

  • 2
    일본, 사상 처음으로 인구 10명 중 1명 80세 이상… ‘전 세계 최고령’

    BBC 코리아

  • 3
    조종사 탈출 후 ‘실종됐던’ 미 F-35 전투기 잔해 발견

    BBC 코리아

  • 4
    중국 외교 사령탑 왕이, 북러 회담 직후 러시아 방문해 ‘전략 안보 협의’

    BBC 코리아

  • 5
    ‘세 자녀 모두 희소병을 진단받았습니다’

    BBC 코리아

지금 뜨는 뉴스

  • 1
    중국 군부 숙청, 시진핑에게 문제 될까?

    뉴스 

  • 2
    교권 회복 4법 국회 본회의 통과...무엇이 바뀌나

    뉴스 

  • 3
    미국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뉴스 

  • 4
    이재명 대표 두 번째 체포동의안 국회 통과… 앞으로 어떻게 되나

    뉴스 

  • 5
    '뇌에 컴퓨터 칩 심는다'… 머스크의 뉴럴링크, 임상시험 참가자 첫 모집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