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첫 우주 인공위성 발사를 계획 중이라고 발표한 북한이 발표 직후인 31일(현지시간) 오전 발사체를 발사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당일 오전 한때 오키나와현 남부 주민들에게 긴급 대피 명령을 내렸으나, 해당 발사체가 자국 영토에 충돌할 위험은 없다고 판단해 이내 해제했다.
북한의 이번 발사체는 공중에서 분해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추락했다.
앞서 북한은 미국의 군사 활동을 감시하고자 오는 6월 11일 내로 정찰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자국 영토를 위협하는 모든 물체를 격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한편 31일 이른 아침 서울 등 수도권 일대에서는 대피 준비를 하라는 휴대전화 메시지와 함께 경계경보 사이렌이 울리면서 시민들이 혼란에 빠졌다. 그러나 이후 20분 뒤 서울 지역 경계경보는 오발령임이 드러났다.
70년째 여전히 북한과 긴장이 이어지고 있는 한반도이기에 이러한 경계경보 오발령은 국가 경보 시스템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크게 저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여전히 북한이 위협으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향후 또 다른 경보가 발령될 경우 시민들이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일지, 아니면 또 다른 오발령으로 치부해버릴지는 의문으로 남게 됐다.
한편 연합뉴스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이번 발사체가 낙하 예고지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조기에 레이더에서 사라졌다며, 공중분해 되거나 추락했을 가능성을 염두하고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루 전인 30일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은 정찰위성을 곧 발사할 계획이라면서, 한국과 미국의 “위험한 군사행동”에 대한 대응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면서 이들 국가가 “무모한 침략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놓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편 북한의 이번 발사 전, 미 국무부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하는 북한의 어떤 발사도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위반이라며 자제를 촉구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