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그리스 난민선 참사, 선박 추적 결과 해안경비대의 설명 ‘의심스러워’

조회수  

관련 영상: 선박 추적 데이터가 그리스 난민선 참사를 재조명한다

BBC는 수백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14일(현지시간) 난민선 난파 사고와 관련해 그리스 해안경비대의 설명에 의구심이 생기는 증거를 입수했다.

해당 지역에 위치했던 다른 선박을 분석한 결과, 과밀했던 침몰 난민선은 전복되기 전 최소 7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경비대는 이 시간 동안 난민선이 이탈리아로 향하고 있었으며 구조가 필요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리스 당국은 아직 BBC의 조사 결과에 답변하지 않았다.

이번 사고에서 최소 78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유엔(UN)은 최대 500명이 여전히 실종 상태라고 밝혔다.

본격적인 구조 시도를 위해 더 일찍 조치에 나서야 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유엔은 이번 참사를 둘러싼 그리스측 대응에 관해 조사를 촉구했다.

그리스 당국 관계자는 어선 탑승자가 침몰 직전까지 도움을 원하지 않았고 위험에 처하지도 않았다는 주장을 고수 중이다.

BBC는 해양 분석 플랫폼 ‘마린트래픽’이 제공하는 추적 데이터의 애니메이션 자료를 입수했다.

이 자료는 난민선이 침몰한 특정 지역에 초점을 맞춰 몇 시간 동안의 움직임을 보여 주는데, 항해에 문제가 없었다는 당국의 공식 발표에 의구심을 불러일으켰다.

해당 어선에는 추적기가 없었기 때문에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다. 위치를 공유할 필요가 없는 해안경비대와 군함도 마찬가지다.

해안경비대 공식 발표 타임라인과의 모순

유럽연합(EU) 국경 관리 기관 ‘프론텍스’는 13일 오전 8시(GMT 기준)에 난민선을 처음 발견하고 그리스 당국에 알렸다고 밝혔다.

해상 조난자를 위한 긴급 핫라인 ‘알람 폰’은 오후 12시 17분에 해당 난민선의 조난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BBC는 검증된 영상 및 사진, 법원 기록, 선박 일지 등을 바탕으로 이후 몇 시간 동안 해당 지역의 선박 이동을 분석했다.

마린트래픽 애니메이션 자료를 보면, 선박 ‘럭키 세일러’가 오후 3시에 갑자기 북쪽으로 선회했다.

럭키 세일러호의 선장은 BBC에 항해 일지를 공유했고, 해안경비대가 난민선에 접근해 음식과 물을 제공하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30분가량 지난 오후 3시 35분에는 해안경비대 헬리콥터가 해당 난민선을 발견했다. 그러나 당국은 당시 어선이 안정적으로 항해 중이었다는 주장을 고수했다.

그런데 2시간 30분이 지난 오후 6시경에는 또 다른 선박 ‘페이스풀 워리어’가 같은 지역으로 이동해 어선에 보급품을 전달했다.

페이스풀 워리어의 선주는 BBC를 수사 당국에 소개했다.

페이스풀 워리어호에서 촬영된 것으로 보이는 영상도 등장했는데, 물에 잠긴 밧줄을 이용해 난민선에 보급품을 전달하는 장면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선박은 보이지 않는다.

BBC가 확인한 결과, 멈춰있는 영상 속 선박은 사진에 찍힌 난민선의 형태와 일치했으며, 당시 기상 상태 또한 보도된 내용과 일치했다. 이 영상의 촬영 시각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리스 당국의 초기 주장은 오후 7시 40분부터 10시 40분 사이에 난민선이 “일관된 항로와 속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초기 발표에서는 이를 먼 거리에서 관찰했다고 주장했지만, 나중에 공개한 해당 시간대의 확대 사진을 보면 난민선은 어디로도 가지 않았다.

정부 대변인은 나중에 해안경비대가 위험을 판단하기 위해 승선을 시도했지만 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이 연결된 밧줄을 제거하고 도움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전 7시간 동안 모든 선박 활동은 특정 지점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는 난민선이 거의 움직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애니메이션 지도의 축척을 보면, 몇 해리 미만을 이동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정도는 지중해의 가장 깊은 곳에서 바람과 파도에 휩쓸린 조난선이 움직일법한 타당한 거리다.

조난당한 사람들이 배를 흔든 행동도 선박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리스 당국은 이 시간 동안 배에 문제가 없었으며 이탈리아로 안전하게 향하고 있었고 그래서 해안경비대가 구조를 시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오후 23시에는 수백 명의 승객을 태운 선박이 침몰했다. 추적 애니메이션을 보면 구조하러 온 다른 선박들이 분주히 움직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참사 여파를 담은 영상을 촬영해 나중에 BBC로 보낸 ‘셀러브리티 비욘드’도 해당 선박들에 포함된다.

호화 요트 ‘마야 퀸’호는 이후 생존자 104명 중 일부를 해변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시받았다.

구조된 생존자는 칼라마타 항구에 무사히 도착했지만, 그리스 정부의 대응을 둘러싸고 여러 의문이 남아있다.

CP-2022-0043@fastviewkorea.com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사진으로 보는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 윤 대통령, 11월 영국 국빈 방문…'찰스 3세 대관식 이후 최초'
  • '지구 충돌 가능성' 소행성에서 채취한 샘플, 지구로 무사 귀환
  • 물가 계산기: '나만의 도시락'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 북한, 5년 만에 아시안게임 출전...유도에서 첫 '남북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최신 뉴스

  • 사진으로 보는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 윤 대통령, 11월 영국 국빈 방문…'찰스 3세 대관식 이후 최초'
  • '지구 충돌 가능성' 소행성에서 채취한 샘플, 지구로 무사 귀환
  • 물가 계산기: '나만의 도시락'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 북한, 5년 만에 아시안게임 출전...유도에서 첫 '남북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함께 볼만한 뉴스

           
  • 1
    젤렌스키 UN 연설서 러시아 겨냥해 ‘악은 신뢰할 수 없어’

    BBC 코리아

  • 2
    일본, 사상 처음으로 인구 10명 중 1명 80세 이상… ‘전 세계 최고령’

    BBC 코리아

  • 3
    조종사 탈출 후 ‘실종됐던’ 미 F-35 전투기 잔해 발견

    BBC 코리아

  • 4
    중국 외교 사령탑 왕이, 북러 회담 직후 러시아 방문해 ‘전략 안보 협의’

    BBC 코리아

  • 5
    ‘세 자녀 모두 희소병을 진단받았습니다’

    BBC 코리아

지금 뜨는 뉴스

  • 1
    중국 군부 숙청, 시진핑에게 문제 될까?

    뉴스 

  • 2
    교권 회복 4법 국회 본회의 통과...무엇이 바뀌나

    뉴스 

  • 3
    미국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뉴스 

  • 4
    이재명 대표 두 번째 체포동의안 국회 통과… 앞으로 어떻게 되나

    뉴스 

  • 5
    '뇌에 컴퓨터 칩 심는다'… 머스크의 뉴럴링크, 임상시험 참가자 첫 모집

    뉴스 

[뉴스] 랭킹 뉴스

  • 사진으로 보는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 시가행진
  • 윤 대통령, 11월 영국 국빈 방문…'찰스 3세 대관식 이후 최초'
  • '지구 충돌 가능성' 소행성에서 채취한 샘플, 지구로 무사 귀환
  • 물가 계산기: '나만의 도시락'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 북한, 5년 만에 아시안게임 출전...유도에서 첫 '남북전'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함께 볼만한 뉴스

  • 1
    젤렌스키 UN 연설서 러시아 겨냥해 ‘악은 신뢰할 수 없어’

    BBC 코리아

  • 2
    일본, 사상 처음으로 인구 10명 중 1명 80세 이상… ‘전 세계 최고령’

    BBC 코리아

  • 3
    조종사 탈출 후 ‘실종됐던’ 미 F-35 전투기 잔해 발견

    BBC 코리아

  • 4
    중국 외교 사령탑 왕이, 북러 회담 직후 러시아 방문해 ‘전략 안보 협의’

    BBC 코리아

  • 5
    ‘세 자녀 모두 희소병을 진단받았습니다’

    BBC 코리아

지금 뜨는 뉴스

  • 1
    중국 군부 숙청, 시진핑에게 문제 될까?

    뉴스 

  • 2
    교권 회복 4법 국회 본회의 통과...무엇이 바뀌나

    뉴스 

  • 3
    미국의 우크라이나 전쟁 지원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뉴스 

  • 4
    이재명 대표 두 번째 체포동의안 국회 통과… 앞으로 어떻게 되나

    뉴스 

  • 5
    '뇌에 컴퓨터 칩 심는다'… 머스크의 뉴럴링크, 임상시험 참가자 첫 모집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