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IAEA 종합 보고서 작성에 관여한 국제 전문가들 사이에 “이견은 없었다”고 말했다.
방한 중인 그로시 사무총장은 8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보고서는 IAEA의 최종적이고 종합적인 보고서”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한 전문가가 다른 의견을 가졌다고 보도된 걸 봤는데,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보고서는 규칙과 기준에 맞게 작성됐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전날 밤 귀국 때 인천공항에서 맞닥뜨린 반대 시위와 관련해서는 “민주주의 과정의 일부”라며 “한국은 민주국가이고 당연히 사람들은 시위를 할 수 있다. 내가 여기 온 것도 아마도 많은 이들이 가진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시위대는 공항 1층 귀빈용 출구 앞에서 ‘IAEA 일본맞춤 보고서 폐기하라’, ‘IAEA 사무총장 방한 반대’ 등의 피켓을 들고 “그로시 고홈(go home)”, “해양투기 반대한다”, “그로시는 한국을 떠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IAEA 보고서가 일본의 요청으로 작성돼 편향된 것 아니냐는 일부의 시각에 대해서도 “보고서는 전혀 일본에 편향된 게 아니고 IAEA가 한 일도 일본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오히려 일본이 자신들의 처리 절차가 국제 안전 규범에 맞는지 살펴봐달라고 IAEA에 요청한 것이고 이것은 오히려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IAEA 종합 보고서가 일본 정부의 방류 스케줄에 맞춰 발표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일본이 언제 방류를 시작하고자 하는지 알지 못한다”며 “일본이 방류 계획을 처음 밝히고 그 계획을 IAEA에 평가해달라고 한 것이 2021년인데, 그로부터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2년이 걸렸고 이것은 매우 긴 시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에 앞서 진행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오염수 방류에 대한 사람들의 걱정을 이해한다. 나는 실체적 진실을 전달하기 위해 이곳에 왔다”고 밝힌 바 있다. 진실은 한국과 일본, 중국 상관 없이 모두 같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국은 북핵 개발과 관련해 최전선에 있는 나라로,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일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후쿠시마보다 북핵 문제를 더 걱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박진 외교부 장관,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과 면담하고 9일 더불어민주당 관계자와도 면담한 뒤 뉴질랜드로 이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