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유럽 폭염: 남유럽에 강력한 무더위…기후변화 영향

조회수  

이탈리아 정부는 적색 경보가 내려진 지역의 모든 주민들에게 직사광선을 피하라고 권고했다

Getty Images
이탈리아 정부는 적색 경보가 내려진 지역의 모든 주민들에게 직사광선을 피하라고 권고했다

한반도에 장마로 인한 인명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유럽 남부에서는 강력한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이 무더위는 다음주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는 이미 며칠 전부터 이례적인 고온 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이탈리아 보건부는 주말 동안 로마, 볼로냐, 피렌체 등 16개 도시에 적색경보를 발령했다.

이탈리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번 폭염은 다음주까지 계속될 전망이고, 낮 최고기온은 48℃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유럽 최고기온 지난 2021년 8월 시칠리아에서 48.8도를 기록한 바 있다.

이탈리아 기상청은 다음주 시칠리아 섬이 ‘카론’이라고 불리는 이번 폭염의 진원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탈리아 기상학자이자 기후 전문가인 줄리오 베티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그리스, 튀르키예, 발칸 반도에서도 7월 19일에서 23일 사이에 최고 기온에 도달할 것”이라며 “이 지역을 포함한 여러 지역의 낮 최고기온 기록이 뒤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16일 적색 경보가 내려진 지역의 모든 주민들을 향해 “오전 11시에서 오후 6시 사이에 직사광선을 피하고 노인이나 취약계층은 특별히 조심해 달라”고 주문했다.

로마에서 여행 가이드로 일하는 펠리시티 힌튼(59)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치솟는 기온과 인구 과밀로 인해 도시를 여행하는 게 악몽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로마는 항상 덥지만 이번 더위는 보통 때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덥다”며 “저와 제 가이드 친구들은 극도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일부 사람들은 투어 중에 기절해 거리 사방에는 구급차들이 있다”고 전했다.

섭씨 40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이 유럽을 강타했다.

로마에 거주하는 62세의 엘레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2003년 쯤부터 여름 기온이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며 “이후 기온이 기하급수적으로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그리스는 최근 며칠 동안 40도 이상의 기온을 기록했다. 아테네의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인 아크로폴리스는 방문객 보호를 위해 가장 더운 날씨를 기록한 지난 15일과 16일 문을 닫았다.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에서는 지난 토요일 아침 라팔마에서 발생한 산불로 최소 2천여명이 대피했으며 지금까지 4500헥타르의 땅이 파괴됐다.

카나리아 제도 지방 정부의 페르난도 클라비조 대통령은 “이번 화재로 최소 12채의 가옥이 파괴됐다”며 “화재가 빠르게 확산된 이유는 바람과 기후 조건은 물론 우리가 살고 있는 폭염 때문”이라고 말했다.

스페인 당국은 150명의 소방관을 투입해 화재를 진압 작업을 펼치고 있고, 근처에 위치한 테네리페 섬에도 화재 진압 인력을 보냈다.

유럽의 폭염은 다음 주 후반 발칸 반도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르비아와 헝가리와 같은 몇몇 국가의 낮 최고기온은 이미 35도를 상회하고 있다.

극심한 무더위 기간은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날씨 패턴 내에서 발생하지만,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더 빈번해지고, 강하고 더 오래 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탈리아 기상학자인 베티는 “폭염은 매년 그 수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는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후 변화의 신호들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유럽의 여름은 이전보다 훨씬 더 더워졌습니다. 우리가 걱정해야 할 부분은 강력하고 장기적인 폭염이 없는 여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제 ‘평범한’ 여름은 보기 드물게 됐습니다.”

유럽 연합의 기후 감시 서비스인 코페르니쿠스에 따르면, 지난 달은 역대급으로 가장 더운 6월이었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온난화 기후로 인한 극단적인 날씨가 불행하게도 새로운 정상으로 여겨지는 실정”이라고 경고했다.

CP-2022-0043@fastviewkorea.com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댓글0

300

댓글0

[뉴스] 랭킹 뉴스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 아시안게임: 팬데믹 후 첫 아시안게임 개막...한국, 금50·종합3위 목표
  • 소행성 '베누' 표본 캡슐 24일 지구 귀환...생명체 기원 힌트 될까
  • 루퍼트 머독 후계자 라클란에 대한 5가지 사실
  • 한 살 아기 사망한 뉴욕 어린이집서 대량의 마약 발견
  • 중국 군부 숙청, 시진핑에게 문제 될까?

최신 뉴스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 아시안게임: 팬데믹 후 첫 아시안게임 개막...한국, 금50·종합3위 목표
  • 소행성 '베누' 표본 캡슐 24일 지구 귀환...생명체 기원 힌트 될까
  • 루퍼트 머독 후계자 라클란에 대한 5가지 사실
  • 한 살 아기 사망한 뉴욕 어린이집서 대량의 마약 발견
  • 중국 군부 숙청, 시진핑에게 문제 될까?

함께 볼만한 뉴스

           
  • 1
    북한, 2차 정찰위성 발사 실패… 오는 10월 3차 단행

    BBC 코리아

  • 2
    ‘전쟁터에 가고 싶지 않다’는 우크라이나 청년들

    BBC 코리아

  • 3
    바그너 수장 프리고진, 비행기 사고로 사망 추정…격추 주장

    BBC 코리아

  • 4
    찬드라얀 3호: 인도의 달 착륙선 ‘비크람’이 새역사 쓸까?

    BBC 코리아

  • 5
    FTX 창업자 샘 뱅크먼-프리드, ‘구치소에서 빵과 물로만 연명’ 변호인 주장

    BBC 코리아

지금 뜨는 뉴스

  • 1
    폴란드, 우크라에 무기 지원 중단… '곡물 수입 금지' 갈등 격화

    뉴스 

  • 2
    후쿠시마 오염수: 중국, 8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67% 급감

    뉴스 

  • 3
    인도-캐나다 관계는 어쩌다 악화했나

    뉴스 

  • 4
    고문, 강간, 살인, 인도에서 벌어지는 잔혹한 분쟁

    뉴스 

  • 5
    젤렌스키 UN 연설서 러시아 겨냥해 '악은 신뢰할 수 없어'

    뉴스 

[뉴스] 랭킹 뉴스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리뷰: 미야자키 감독의 '마지막' 영화는 걸작이다
  • 아시안게임: 팬데믹 후 첫 아시안게임 개막...한국, 금50·종합3위 목표
  • 소행성 '베누' 표본 캡슐 24일 지구 귀환...생명체 기원 힌트 될까
  • 루퍼트 머독 후계자 라클란에 대한 5가지 사실
  • 한 살 아기 사망한 뉴욕 어린이집서 대량의 마약 발견
  • 중국 군부 숙청, 시진핑에게 문제 될까?

함께 볼만한 뉴스

  • 1
    북한, 2차 정찰위성 발사 실패… 오는 10월 3차 단행

    BBC 코리아

  • 2
    ‘전쟁터에 가고 싶지 않다’는 우크라이나 청년들

    BBC 코리아

  • 3
    바그너 수장 프리고진, 비행기 사고로 사망 추정…격추 주장

    BBC 코리아

  • 4
    찬드라얀 3호: 인도의 달 착륙선 ‘비크람’이 새역사 쓸까?

    BBC 코리아

  • 5
    FTX 창업자 샘 뱅크먼-프리드, ‘구치소에서 빵과 물로만 연명’ 변호인 주장

    BBC 코리아

지금 뜨는 뉴스

  • 1
    폴란드, 우크라에 무기 지원 중단… '곡물 수입 금지' 갈등 격화

    뉴스 

  • 2
    후쿠시마 오염수: 중국, 8월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 67% 급감

    뉴스 

  • 3
    인도-캐나다 관계는 어쩌다 악화했나

    뉴스 

  • 4
    고문, 강간, 살인, 인도에서 벌어지는 잔혹한 분쟁

    뉴스 

  • 5
    젤렌스키 UN 연설서 러시아 겨냥해 '악은 신뢰할 수 없어'

    뉴스 

공유하기